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TCP/IP Illustrated, Volume 1, Second Edition 한국어판


TCP/IP Illustrated 시리즈는 워낙 유명해서 언젠간 꼭 읽으리라 마음만 먹고 있었습니다. 그러나 영어 원서의 압박으로 감히 쉽사리 구매하질 못했었습니다. 그런데 한국어 판으로 번역서가 고맙게도 나오게 되어 구매했습니다. 이 책의 내용은 TCP/IP에 대해 세계에서 가장 자세한 책이 아닐가 싶습니다. 정말 궁금했던 부분 몰랐던 부분 등.. 내용이 아주 방대합니다. 그래서 전체를 정독하지는 않았지만 필요할 때마다 가장 가까운 책꽂이에 레퍼런스로 활용합니다. TCP/IP Illustrated, Volume 1, Second Edition 한국어판 추천합니다.
이 책은 오늘날의 TCP/IP 프로토콜 모음에 대한 완벽 가이드다. 최신의 혁신적 수정 사항들을 완전하게 반영했으며, 최신 리눅스, 윈도우, 맥 OS 환경 등의 실제적인 예제를 통해 각 프로토콜이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보여준다. 이 책은 TCP/IP의 동작 원리, 일반적인 조건에서 동작 내용, 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나 네트워크상에서 TCP/IP가 어떻게 적용되는지 이해하기 위한 최적의 안내서다. TCP/IP의 핵심적인 목표와 구조적인 개념을 소개하고, TCP/IP가 다양한 네트워크들을 어떻게 안정적으로 연결하고 또 여러 서비스를 어떻게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.

1장 개요
_1.1 아키텍처에 관한 원칙
__1.1.1 패킷, 연결, 데이터그램
__1.1.2 단대단 원칙과 운명 공동체
__1.1.3 오류 제어와 흐름 제어
_1.2 설계와 구현
__1.2.1 계층화
__1.2.2 계층 구현상의 다중화, 역다중화, 캡슐화
_1.3 TCP/IP 아키텍처와 프로토콜 모음
__1.3.1 ARPANET 참조 모델
__1.3.2 TCP/IP에서 다중화, 역다중화, 캡슐화
__1.3.3 포트 번호
__1.3.4 이름, 주소, 그리고 DNS
_1.4 인터넷, 인트라넷, 엑스트라넷
_1.5 애플리케이션의 설계
__1.5.1 클라이언트/서버
__1.5.2 p2p
__1.5.3 API
_1.6 표준화 절차
__1.6.1 RFC
__1.6.2 기타 표준
_1.7 구현과 소프트웨어 배포
_1.8 인터넷 아키텍처에 관련된 공격
_1.9 정리
_1.10 참고 자료

2장 인터넷 주소 구조
_2.1 개요
_2.2 IP 주소의 표현
_2.3 IP 주소의 기본 구조
__2.3.1 클래스 기반 주소 지정
__2.3.2 서브넷 주소 지정
__2.3.3 서브넷 마스크
__2.3.4 VLSM
__2.3.5 브로드캐스트 주소
__2.3.6 IPv6 주소와 인터페이스 ID
_2.4 CIDR과 병합
__2.4.1 접두사
__2.4.2 병합
_2.5 특별한 용도 주소
__2.5.1 IPv4/IPv6 주소 변환기
__2.5.2 멀티캐스트 주소
__2.5.3 IPv4 멀티캐스트 주소
__2.5.4 IPv6 멀티캐스트 주소
__2.5.5 애니캐스트 주소
_2.6 할당
__2.6.1 유니캐스트
__2.6.2 멀티캐스트
_2.7 유니캐스트 주소 배정
__2.7.1 단일 제공자/네트워크 없음/단일 주소
__2.7.2 단일 제공자/단일 네트워크/단일 주소
__2.7.3 단일 제공자/복수의 네트워크/복수의 주소
__2.7.4 복수의 제공자/복수의 네트워크/복수의 주소(다중 홈 구성)
_2.8 IP 주소 관련 공격
_2.9 정리
_2.10 참고 자료

3장 링크 계층
_3.1 개요
_3.2 이더넷과 IEEE 802 LAN/MAN 표준
__3.2.1 IEEE 802 LAN/MAN 표준
__3.2.2 이더넷 프레임 형식
__3.2.3 802.1p/q: 가상 LAN 및 QoS 태그
__3.2.4 802.1AX: 링크 병합(예전 802.3ad)
_3.3 전이중, 절전, 자동 협상, 802.1X 흐름 제어
__3.3.1 이중 모드의 불일치
__3.3.2 WoL(Wake-on LAN), 절전, 매직 패킷
__3.3.3 링크 계층 흐름 제어
_3.4 브리지와 스위치
__3.4.1 STP(스패닝 트리 프로토콜)
__3.4.2 802.1ak: MRP(다중 등록 프로토콜)
_3.5 무선 LAN: IEEE 802.11(Wi-Fi)
__3.5.1 802.11 프레임
__3.5.2 절전 모드와 TSF(시간 동기화 기능)
__3.5.3 802.11 MAC(매체 접근 제어)
__3.5.4 물리 계층 세부 사항: 전송률, 채널, 주파수
__3.5.5 Wi-Fi 보안
__3.5.6 Wi-Fi 메시(802.11s)
_3.6 PPP
__3.6.1 링크 제어 프로토콜(LCP)
__3.6.2 다중 링크 PPP(MP)
__3.6.3 압축 제어 프로토콜(CCP)
__3.6.4 PPP 인증
__3.6.5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(NCP)
__3.6.6 헤더 압축
__3.6.7 예제
_3.7 루프백
_3.8 MTU와 경로 MTU
_3.9 터널링의 기초
__3.9.1 단방향 링크
_3.10 링크 계층에 대한 공격
_3.11 정리
_3.12 참고 자료

4장 ARP: 주소 결정 프로토콜
_4.1 개요
_4.2 예제
__4.2.1 직접 전달과 ARP
_4.3 ARP 캐시
_4.4 ARP 프레임 형식
_4.5 ARP 예제
__4.5.1 정상적인 예제
__4.5.2 존재하지 않는 호스트에 대한 ARP 요청
_4.6 ARP 캐시 타임아웃
_4.7 프락시 ARP
_4.8 무상 ARP와 주소 충돌 탐지(ACD)
_4.9 arp 명령
_4.10 임베디드 장치의 IPv4 주소 설정에 ARP 사용
_4.11 ARP 관련 공격
_4.12 정리
_4.13 참고 자료

5장 인터넷 프로토콜
_5.1 개요
_5.2 IPv4 헤더와 IPv6 헤더
__5.2.1 IP 헤더 필드
__5.2.2 인터넷 검사합
__5.2.3 DS 필드와 ECN(예전의 ToS 바이트나 IPv6 트래픽 클래스)
__5.2.4 IP 옵션
_5.3 IPv6 확장 헤더
__5.3.1 IPv6 옵션
__5.3.2 라우팅 헤더
__5.3.3 단편 헤더
_5.4 IP 포워딩
__5.4.1 포워딩 테이블
__5.4.2 IP 포워딩 동작
__5.4.3 예제
__5.4.4 토의
_5.5 모바일 IP
__5.5.1 기본 모델: 양방향 터널링
__5.5.2 경로 최적화(RO)
__5.5.3 토의
_5.6 IP 데이터그램에 대한 호스트의 처리
__5.6.1 호스트 모델
__5.6.2 주소의 선택
_5.7 IP 관련 공격
_5.8 정리
_5.9 참고 자료

6장 시스템 구성: DHCP와 자동 구성
_6.1 개요
_6.2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
__6.2.1 주소 풀과 임대
__6.2.2 DHCP와 BOOTP 메시지 형식
__6.2.3 DHCP와 BOOTP 옵션
__6.2.4 DHCP 프로토콜 운영
__6.2.5 DHCPv6
__6.2.6 중계기에서 DHCP 사용
__6.2.7 DHCP 인증
__6.2.8 재구성 확장
__6.2.9 성급한 허용
__6.2.10 지역 정보(LCI와 LoST)
__6.2.11 이동성과 핸드오프 정보(MoS와 ANDSF)
__6.2.12 DHCP 스누핑
_6.3 상태 없는 주소 자동 구성(SLAAC)
__6.3.1 IPv4 링크 로컬 주소의 동적 구성
__6.3.2 링크 로컬 주소를 위한 IPv6 SLAAC
_6.4 DHCP와 DNS의 상호작용
_6.5 PPP over 이더넷(PPPoE)
_6.6 시스템 구성을 포함하는 공격
_6.7 정리
_6.8 참고 자료

7장 방화벽과 네트워크 주소 변환
_7.1 개요
_7.2 방화벽
__7.2.1 패킷 필터링 방화벽
__7.2.2 프록시 방화벽
_7.3 네트워크 주소 변환(NAT)
__7.3.1 전통적인 NAT: 기본 NAT와 NAPT
__7.3.2 주소와 포트 변환 과정
__7.3.3 필터링 동작
__7.3.4 NAT 후면의 서버
__7.3.5 헤어피닝과 NAT 루프백
__7.3.6 NAT 편집기
__7.3.7 서비스 제공자 NAT(SPNAT)와 서비스 제공자 IPv6 천이
_7.4 NAT 횡단
__7.4.1 핀홀과 홀 뚫기
__7.4.2 일방적인 자체 주소 고정(UNSAF)
__7.4.3 NAT를 위한 세션 횡단 유틸리티(STUN)
__7.4.4 중계기를 활용해 NAT 주의를 횡단(TURN)
__7.4.5 대화식의 연결성 설정(ICE)
_7.5 패킷 필터링 방화벽과 NAT 구성
__7.5.1 방화벽 규칙
__7.5.2 NAT 규칙
__7.5.3 NAT와 방화벽의 직접적인 상호작용: UPnP, NAT-PMP, PCP
_7.6 IPv4/IPv6 공존과 이전을 위한 NAT
__7.6.1 이중-스택 Lite
__7.6.2 NAT와 ALG를 사용하는 IPv4/IPv6 변환
_7.7 방화벽과 NAT를 포함하는 공격
_7.8 정리
_7.9 참고 자료

8장 ICMPv4와 ICMPv6: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
_8.1 개요
__8.1.1 캡슐화 IPv4와 IPv6
_8.2 ICMP 메시지
__8.2.1 ICMPv4 메시지
__8.2.2 ICMPv6 메시지
__8.2.3 ICMP 메시지의 처리
_8.3 ICMP 오류 메시지
__8.3.1 확장된 ICMP와 멀티파트 메시지
__8.3.2 목적지 도달 불가(ICMPv4 타입 3, ICMPv6 타입 1)와 너무 큰 패킷(ICMPv6 타입 2)
_8.3.3 재지정 (ICMPv4 타입 5, ICMPv6 타입 137)
__8.3.4 ICMP 시간 초과(ICMPv4 타입 11, ICMPv6 타입 3)
__8.3.5 매개변수 문제(ICMPv4 타입 12, ICMPv6 타입 4)
_8.4 ICMP 조회/정보성 메시지
__8.4.1에코 요청/응답(ICMPv4 타입 0/8, ICMPv6 타입 129/128)
__8.4.2 라우터 발견: 라우터 간청과 광고(ICMPv4 타입 9, 10)
__8.4.3 홈 에이전트 주소 발견 요청/응답(ICMPv6 타입 144/145)
__8.4.4 모바일 접두사 간청/광고(ICMPv6 타입 146/147)
__8.4.5 모바일 IPv6 급속 핸드오버 메시지(ICMPv6 타입 154)
__8.4.6멀티캐스트 리스너 조회/보고/종료(ICMPv6 타입 130/131/132)
__8.4.7 버전 2 멀티캐스트 리스너 발견(MLDv2)(ICMPv6 타입 143)
__8.4.8 멀티캐스트 라우터 발견(IGMP 타입 48/49/50, ICMPv6 타입 151/152/153)
_8.5 이웃 발견 IPv6
__8.5.1 ICMPv6 라우터 간청과 광고(ICMPv6 타입 133, 134)
__8.5.2 ICMPv6 이웃 간청과 광고(IMCPv6 타입 135, 136)
__8.5.3 ICMPv6 역이웃 발견 간청/광고(ICMPv6 타입 141/142)
__8.5.4 이웃 도달 불가 탐지(NUD)
__8.5.5 안전한 이웃 발견(SEND)
__8.5.6 ICMPv6 이웃 발견(ND) 옵션
_8.6 ICMPv4와 ICMPv6의 변환
__8.6.1 ICMPv4를 ICMPv6로 변환
__8.6.2 ICMPv6를 ICMPv4로 변환
_8.7 ICMP를 포함하는 공격
_8.8 정리
_8.9 참고 자료

9장 브로드캐스팅과 로컬 멀티캐스팅
_9.1 개요
_9.2 브로드캐스팅
__9.2.1 브로드캐스트 주소 사용
__9.2.2 브로드캐스트 데이터그램 보내기
_9.3 멀티캐스팅
__9.3.1 IP 멀티캐스트 주소를 802 MAC/이더넷 주소로 변환
__9.3.2 예제
__9.3.3 멀티캐스트 데이터그램 보내기
__9.3.4 멀티캐스트 데이터그램 수신
__9.3.5 호스트 주소 필터링
_9.4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과 멀티캐스트 리스너 발견 프로토콜
__9.4.1 그룹 멤버로 IGMP와 MLD 처리(‘그룹 멤버 파트’)
__9.4.2 멀티캐스트 라우터에서의 IGMP와 MLD 처리(‘멀티캐스트 라우터 파트’)
__9.4.3 예제
__9.4.4 경량 IGMPv3와 MLDv2
__9.4.5 IGMP와 MLD의 강건함
__9.4.6 IGMP와 MLD의 카운터와 변수
__9.4.7 IGMP와 MLD 스누핑
_9.5 IGMP와 MLD 포함 공격
_9.6 정리
_9.7 참고 자료

10장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과 IP 단편화
_10.1 개요
_10.2 UDP 헤더
_10.3 UDP 검사합
_10.4 예제
_10.5 UDP와 IPv6
__10.5.1 Teredo: IPv4 네트워크를 통한 IPv6 터널링
_10.6 UDP-Lite
_10.7 IP 단편화
__10.7.1 예제: UDP/IPv4 단편화
__10.7.2 재조립 타임아웃
_10.8 UDP를 이용한 경로 MTU 발견
__10.8.1 예제
_10.9 IP 단편화와 ARP/ND 사이의 상호작용
_10.10 최대 UDP 데이터그램 크기
__10.10.1 구현 제한
__10.10.2 데이터그램 절단
_10.11 UDP 서버 설계
__10.11.1 IP 주소와 UDP 포트 번호
__10.11.2 로컬 IP 주소의 제약
__10.11.3 다중 주소 사용
__10.11.4 외부 IP 주소의 제한
__10.11.5 포트당 다중 서버 사용
__10.11.6 스패닝 주소들 : IPv4와 IPv6
__10.11.7 흐름 제어와 혼잡 제어의 부족
_10.12 UDP/IPv4의 UDP/IPv6 데이터그램으로 변환
_10.13 인터넷에서 UDP
_10.14 UDP와 IP 단편화를 포함한 공격
_10.15 정리
_10.16 참고 자료

11장 이름 변환과 도메인 네임 시스템
_11.1 개요
_11.2 DNS 네임스페이스
__11.2.1 DNS 이름 문법
_11.3 네임 서버와 영역
_11.4 캐싱
_11.5 DNS 프로토콜
__11.5.1 DNS 메시지 형식
__11.5.2 DNS 확장 형식(EDNS0)
__11.5.3 UDP와 TCP
__11.5.4 질문(조회)과 영역 섹션 형식
__11.5.5 응답, 인가, 부가적인 정보 섹션 형식
__11.5.6 자원 레코드 유형
__11.5.7 동적 갱신(DNS UPDATE)
__11.5.8 영역 전달과 DNS 통보
_11.6 분류 목록, 라운드로빈, 분리 DNS
_11.7 개방 DNS 서버와 DynDNS
_11.8 투명성과 확장성
_11.9 IPv4에서 IPv6로 DNS 변환(DNS64)
_11.10 LLMNR과 mDNS
_11.11 LDAP
_11.12 DNS상의 공격
_11.13 정리
_11.14 참고 자료

12장 TCP: 전송 제어 프로토콜
_12.1 개요
__12.1.1 ARQ와 전송
__12.1.2 패킷의 윈도우와 슬라이딩 윈도우
__12.1.3 가변 윈도우: 흐름 제어와 혼잡 제어
__12.1.4 재전송 타임아웃 설정
_12.2 TCP 소개
__12.2.1 TCP 서비스 모델
__12.2.2 TCP에서 신뢰성
_12.3 TCP 헤더와 캡슐화
_12.4 정리
_12.5 참고 자료

13장 TCP 연결 관리
_13.1 개요
_13.2 TCP 연결 설정과 종료
__13.2.1 TCP 절반 폐쇄
__13.2.2 동시 개방과 폐쇄
__13.2.3 초기 순서 번호(ISN)
__13.2.4 예제
__13.2.5 연결 설정의 타임아웃
__13.2.6 연결과 변환기
_13.3 TCP 옵션
__13.3.1 최대 세그먼트 크기 옵션
__13.3.2 선택 확인 응답(SACK) 옵션
__13.3.3 윈도우 스케일(WSCALE 혹은 WSOPT) 옵션
__13.3.4 타임스탬프 옵션과 PAWS
__13.3.5 사용자 타임아웃(UTO) 옵션
__13.3.6 인증 옵션(TCP-AO)
_13.4 TCP의 경로 MTU 발견
__13.4.1 예제
_13.5 TCP 상태 천이
__13.5.1 TCP 상태 천이도
__13.5.2 TIME_WAIT(2MSL 대기) 상태
__13.5.3 침묵 시간 개념
__13.5.4 FIN_WAIT_2 상태
__13.5.5 동시 개방과 폐쇄 천이
_13.6 재설정 세그먼트
__13.6.1 존재하지 않는 포트에 대한 연결 요구
__13.6.2 연결 중단
__13.6.3 절반 개방 연결
__13.6.4 시간_대기 감소(TWA)
_13.7 TCP 서버 동작
__13.7.1 TCP 포트 번호
__13.7.2 로컬 IP 주소의 제한
__13.7.3 외부 종단점의 제한
__13.7.4 수신 연결 큐
_13.8 TCP 연결 관리를 포함하는 공격
_13.9 정리
_13.10 참고 자료

14장 TCP 타임아웃과 재전송
_14.1 개요
_14.2 간단한 타임아웃과 재전송 예제
_14.3 재전송 타임아웃의 설정
__14.3.1 고전적인 방법
__14.3.2 표준 방법
__14.3.3 리눅스 방법
__14.3.4 RTT 추정기 동작
__14.3.5 손실과 재순서에 강인한 RTTM
_14.4 타이머 기반 재전송
__14.4.1 예제
_14.5 빠른 재전송
__14.5.1 예제
_14.6 선택 확인 응답을 가진 재전송
__14.6.1 SACK 수신기 동작
__14.6.2 SACK 송신기 동작
__16.6.3 예제
_14.7 의사 타임아웃과 재전송
__14.7.1 중복 SACK(DSACK) 확장
__14.7.2 아이펠 검출 알고리즘
__14.7.3 전진 RTO 복구(F-RTO)
__14.7.4 아이펠 응답 알고리즘
_14.8 패킷 재순서화와 중복
__14.8.1 재순서화
__14.8.2 중복
_14.9 목적지 매트릭스
_14.10 재패킷화
_14.11 TCP 재전송을 포함하는 공격
_14.12 정리
_14.13 참고 자료

15장 TCP 데이터 흐름과 윈도우 관리
_15.1 개요
_15.2 대화형 통신
_15.3 지연된 확인 응답
_15.4 네이글 알고리즘
__15.4.1 지연된 ACK과 네이글 알고리즘 상호작용
__15.4.2 네이글 알고리즘 기능 억제
_15.5 흐름 제어와 윈도우 관리
__15.5.1 슬라이딩 윈도우
__15.5.2 제로 윈도우와 TCP 지속 타이머
__15.5.3 어리석은 윈도우 신드롬(SWS)
__15.5.4 대용량 버퍼와 자동 조정
_15.6 긴급 메커니즘
__15.6.1 예제
_15.7 윈도우 관리를 포함한 공격
_15.8 정리
_15.9 참고 자료

16장 TCP 혼잡 제어
_16.1 개요
__16.1.1 TCP에서 혼잡의 검출
__16.1.2 TCP 송신자의 느린 전송 속도
_16.2 고전적인 알고리즘
__16.2.1 저속 시작
__16.2.2 혼잡 회피
__16.2.3 저속 시작과 혼잡 회피 사이의 선택 방법
__16.2.4 Tahoe, Reno와 빠른 회복
__16.2.5 표준 TCP
_16.3 표준 알고리즘의 발전
__16.3.1 NewReno
__16.3.2 SACK을 이용한 TCP 혼잡 제어
__16.3.3 FACK와 Rate Halving
__16.3.4 제한 전송
__16.3.5 혼잡 윈도우 유효성 검사(CWV)
_16.4 Eifel 응답 알고리즘을 이용한 Spurious RTO의 제어
_16.5 확장 예제
__16.5.1 저속 시작 동작
__16.5.2 송신자 일시 정지와 지역 혼잡(이벤트 1)
__16.5.3 지역 혼잡의 회복과 stretch ACK
__16.5.4 빠른 재전송과 SACK 회복(이벤트 2)
__16.5.5 추가적인 지역 혼잡과 빠른 재전송 이벤트
__16.5.6 시간 초과, 재전송, cwnd 변경 취소
__16.5.7 연결 완료
_16.6 혼잡 상태 공유
_16.7 TCP 친화성
_16.8 고속 환경에서의 TCP
__16.8.1 고속 TCP(HSTCP)와 제한된 저속 시작
__16.8.2 이진 증가 혼잡 제어(BIC와 CUBIC)
_16.9 지연 기반 혼잡 제어
__16.9.1 베가스
__16.9.2 패스트
__16.9.3 TCP 웨스트우드와 웨스트우드+
__16.9.4 복합 TCP
_16.10 버퍼 포화
_16.11 활성 대기열 관리와 ECN
_16.12 TCP 혼잡 제어와 관련된 공격
_16.13 정리
_16.14 참고 자료

17장 TCP 유지
_17.1 개요
_17.2 설명
__17.2.1 유지의 예
_17.3 TCP 유지와 관련된 공격
_17.4 정리
_17.5 참고 자료

18장 보안: EAP, IPSec, TLS, DNSSEC, DKIM
_18.1 개요
_18.2 정보 보호의 기본 원리
_18.3 네트워크 통신에서의 위협
_18.4 기본 암호화와 보안 메커니즘
__18.4.1 암호학
__18.4.2 Rivest, Shamir, Adleman(RSA) 공개키 암호화
__18.4.3 디피 헬만 키 교환 프로토콜(Diffie-Hellman 또는 DH)
__18.4.4 Signcryption와 타원 곡선 암호(ECC)
__18.4.5 키 파생과 완벽한 순방향 보안(PFS)
__18.4.6 의사 난수, 생성기, 기능 계열
__18.4.7 일회용 숫자와 salt
__18.4.8 암호화 해시 함수와 메시지 요약
__18.4.9 메시지 인증 코드(MAC, HMAC, CMAC, GMAC)
__18.4.10 암호화 스위트와 암호 스위트
_18.5 인증서, 인증기관(CA), PKI
_18.5.1 공개키 인증서, 인증기관, X.509
_18.5.2 인증서의 검증과 폐기
_18.5.3 인증서 속성
_18.6 TCP/IP 보안 프로토콜과 계층 구조
_18.7 네트워크 접근 제어: 802.1X, 802.1AE, EAP, PANA
__18.7.1 EAP 기법과 키 기원
__18.7.2 EAP 재인증 프로토콜(ERP)
__18.7.3 네트워크 접속에 대한 인증 운반 프로토콜(PANA)
_18.8 계층 3 IP 보안(IPSec)
__18.8.1 인터넷 키 교환(IKEv2) 프로토콜
__18.8.2 인증 헤더(AH)
__18.8.3 캡슐 보안 페이로드(ESP)
__18.8.4 멀티캐스트
__18.8.5 L2TP/IPsec
__18.8.6 IPsec NAT 탐색
__18.8.7 예제
_18.9 트랜스포트 계층 보안(TLS와 DTLS)
__18.9.1 TLS 1.2
__18.9.2 TLS with Datagrams(DTLS)
_18.10 DNS 보안(DNSSEC)
__18.10.1 DNSSEC 자원 레코드
__18.10.2 DNSSEC 연산
__18.10.3 트랜잭션 인증(TSIG, TKEY, SIG(0))
__18.10.4 DNS64를 지닌 DNSSEC
_18.11 DomainKeys Identified Mail(DKIM)
__18.11.1 DKIM 서명
__18.11.2 예제
_18.12 보안 프로토콜에서의 공격
_18.13 정리
_18.14 참고 자료

19장 약어 사전